코딩스토리/클라우드 서버

오라클 클라우드 포트 개방하기

Tech&Fin 2021. 6. 4. 13:32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접속 가능한 포트를 개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를 아직 만들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 부탁 드립니다.

 

2021.06.03 - [코딩스토리/클라우드 서버] -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생성 - 서버 만들기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생성 - 서버 만들기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무료버전)에 무사히 가입을 완료하셨다면 이제 앞으로 사용할 서버를 할당 받기 위해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아직 오라클 클라우드에 가입하

technfin.tistory.com

 

 

 

포트를 개방하는 이유

우리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버를 만들 예정인데요. 포트는 서버에 들어갈 수 있는 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서버를 처음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보안을 위해 문이 열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리 해당 문을 통해 접속하려고 해도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해당 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포트 개방 작업을 해 주어야 고객이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포트의 종류

포트는 정해져 있는 것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정해서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트 종류입니다.

 

① 80 포트 : 일반적으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하는 포트 입니다. http://로 접속하면 80 포트로 접속하게 됩니다.
② 443 포트 : 80 포트에서 보안이 강화된 포트 입니다. https://를 이용해서 접속하면 443 포트로 접속하게 됩니다.
③ 22 포트 : SSH 및 SFTP등 서버에 접속해서 작업을 하기 위한 포트 입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를 처음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만 개방되어 있습니다.
④ 21 포트 :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FTP 포트 입니다. 보안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포트 개방하기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포트를 오라클 클라우드 웹사이트와 서버에서 총 2번 개방해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웹사이트에서 개방하는 포트는 마치 현관문에서 개방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서 방화벽의 포트를 개방했다 하더라도 앞에 있는 오라클 클라우드 웹사이트에서 포트를 개방하지 않으면 서버까지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먼저 오라클 클라우드 웹사이트에서 포트를 개방해야 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① Subnet을 클릭 합니다.

 

① Security Lists의 목록을 선택합니다.

 

디폴트 설정으로 22번 포트 하나만 개방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① Add Ingress Rules를 클릭하여 포트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① 접속 가능한 IP입니다. 0.0.0.0/0으로 입력하면 어디서든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고객이 어디에서 접속하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입력 합니다.
② TCP 를 선택합니다.
③ 개방하고자 하는 포트를 입력합니다. 여러 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④ 포트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옵션)
⑤ Add Ingress Rules를 클릭하여 추가합니다.

 

포트가 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제 80 및 443 포트를 이용해서 고객이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