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자 계정으로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SSH Key의 Public Key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PuTTYgen을 사용하여 SSH Key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 부탁 드립니다.
2021.06.03 - [코딩스토리/개발관련] - SSH Key 생성 - PuTTYgen
SSH Key 생성 - PuTTYgen
이번 시간에는 PuTTYge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SH Key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uTTYgen 프로그램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여 PuTTY 관련 제품을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2021.06.0
technfin.tistory.com
목차 -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SSH Key 추가하는 이유?
아래 포스트에서 오라클 리눅스 서버에 opc 계정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았었는데요.
2021.06.04 - [코딩스토리/클라우드 서버] -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 접속하기 - PuTTY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 접속하기 - PuTTY
이번 시간에는 PuTTY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에 SSH Key를 이용해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생성 방법 및 PuTTY 설치 그리고 SSH KEY 생성은 이전
technfin.tistory.com
매번 opc 사용자로 접속해서 사용자를 변경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직접 로그인 할 수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사용자 계정 추가는 아래 포스트를 참고 부탁 드립니다.
2021.06.11 - [코딩스토리/리눅스] - 리눅스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 오라클 리눅스8
리눅스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 오라클 리눅스8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서버 생성 방법 및 PuTTY를 이용한 접속 방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 부탁 드리겠습니다. 2021.06.03 - [코딩스토
technfin.tistory.com
SSH Key 추가하기
SSH Key는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ssh 폴더에 추가해야 하는데 처음 사용자를 추가하게 되면 .ssh 폴더가 없습니다.
강제로 만들어줘도 되지만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ssh-keygen -t rsa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한 상태에서 홈디렉토리에서 위의 명령어를 수행하면 .ssh 폴더가 만들어 집니다.
.ssh 폴더로 이동하면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당장은 사용하지 않는 파일이니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Private Key를 이용해서 서버에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하려면 .ssh 폴더 아래 authorized_keys라는 파일을 만들고 PuTTYgen을 이용해 만든 SSH Key의 Public Key를 붙여넣기 해 주어야 합니다.
vi authorized_keys
vi 에디터로 authorized_keys 파일을 만들면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vi 에디터가 열리면 PuTTYgen에서 생성한 Public Key를 붙여넣기 해 줍니다.
authorized_keys 파일은 600 권한으로 설정해야 작동합니다.
chmod 600 authorized_keys
chmod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 권한을 변경합니다.
서버 접속 확인하기
PuTTY를 이용해 사용자 계정으로 직접 로그인이 가능해 졌습니다.
'코딩스토리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서버시간 및 타임존 확인 및 변경하기 (4) | 2022.01.07 |
---|---|
리눅스 크론탭 사용법 - Linux crontab (2) | 2022.01.07 |
SSH Key를 이용해서 SFTP로 서버에 접속하기 - Filezilla sFTP 프로그램 이용 (0) | 2021.12.02 |
리눅스 사용자 계정 SUDO 권한 부여하기 - 오라클 리눅스8 (0) | 2021.06.11 |
리눅스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 오라클 리눅스8 (0) | 2021.06.11 |
오라클 리눅스8 부트볼륨 루트 파티션 늘리는 방법 (1) | 2021.06.06 |